코로나 전, 주식시장이 활황일 때 사회초년생이었기도 하고 처음으로 투자에 관심을 갖고 공부하기 시작했었다.
당시에는 주식을 사지 않으면, 전세대출을 하지 않으면 이상한 사람 취급을 받던? 시기였는데
그래서 너도 나도 다 주식시장에 뛰어들었던 시기에 코로나가 전 세계를 강타하여
상승의 시기는 아주 짧게 지나가고 코로나, 전쟁, 금리인상 등으로 일반인에게는 투자 시장이 그렇게 쉽지는 않았던 것 같다.
(그 중에서도 버는 사람들은 각 처에서 벌었을 테지만?)
나는 하락시장에서도 소액이라도 꾸준히 투자를 해오고 있는데투자금을 드라마틱하게 굴린다기 보다 시장 상황에 맞는 투자 행위가 재밌어서 하는 편이다.
그런 면에서 씨드가 모이면 소액이라도 부동산 투자를 시작하고 싶은 마음이 있었지만아무래도 시도는 못하고 지나가는 시간을 살던 중 부읽남님의 케케묵은 부동산 투자수업 책을 이제야 읽게 되었다.(2022년에 발행된 책이라 유투브로도 안 따라가고 있는데, 이 정도면 모두가 아는 정보를 매우 느리게 습득한 것이 아닐까..)
부읽남 님은 유투브 컨텐츠 통해서 몇 번 본 적이 있는데 어떤 영상에서
"각자에게 맞는 투자 방법은 다 다르다. 유투브는 각 분야의 성공한 사람들이 자신들의 방법을 늘어놓으므로,
모든 것을 습득하고 쥘 수는 없기 때문에(자신도 부동산 외 다른 분야에서는 자신있게 말할 수 없다)
그런 부분을 감안하여 컨텐츠를 접할 필요가 있다"고 말하는 것을 보고 인상 깊었던 기억이 있다.
기억하고 싶은 내용들
인플레이션 : 통화량 증가로 화폐 가치가 하락하면서 모든 물건의 가격이 전반적으로 꾸준히 오르는 현상
→ 우리나라에 떠도는 돈의 양이 는다, 옛날에 1000원 하던 김밥 한 줄이 지금 5000원 하는 이유? 물건의 가치가 오른 것이 아니라 돈의 가치가 떨어진 것 = 물가가 오른다.
- 물가가 오르는 것의 원인이 되는 많은 양의 돈들은 어디에 가 있을까?? 왜 내 주머니로는 들어오지 않을까?
99%의 노동자나 자영업자의 소득은 인플레이션을 따라잡지 못한다. 그 이유는 '내가 일하지 않으면 돈을 벌 수 없다'는 한계 때문,
- 거꾸로 생각해 보면? 일하지 않을 때 돈을 버는 방법은?
재무 관리 플랜의 시작
나는 몇 살까지 일할 수 있을까? 그럼 은퇴 이후 몇 년 정도 살게 될까? 그동안 필요한 금액은 얼마나 될까? 지금 소득이면 은퇴 시점까지 얼마나 모을 수 있을까? 목표액과의 차액은 얼마지? 그 차이를 메울 방법은 뭐가 있을까? 사업? 무슨 사업을 해야하지? 투자? 투자를 한다면 평균 수익률을 얼마나 올려야 할까? 그 정도 수익률을 올릴 수 있는 투자는 뭐가 있을까? 투자금을 늘릴 방법은 없을까?
나의 '부자 가능성 테스트' (55p)
⇒ 나의 상황에 맞추어 직접 해보기
나에게 맞는 레버리지 (95p)
- 대출, 전세, 증여, 시간의 레버리지 중 택할 수 있는 것
- 실거주할 집을 구할 타이밍은 언제인가?
- 미취학 자녀를 둔 젊은 부부라면 레버리지를 최대한으로 활용하라.
- 중년 부부라면 실거주를 염두에 두고 대출 레버리지를 활용하라.
- 노년기라면 실거주 중심으로, 레버리지를 최소화하라.
나의 생애 주기에 맞는 레버리지 활용법
1. 앞으로의 주택 매매에 관한 계획
2. 언제 실거주할 집을 마련해야 할지
3. 어떤 레버리지를 얼마나 활용할 수 있을지
대출에 관한 진실
정말 위험해서 빨리 갚아야 하는 것인가? 그렇다면 은행도 원금 상환을 빨리 해주길 원할 것.
하지만 현실은 어떤가? 은행은 돈을 빌려줌으로써 얻는 이자가 수익이다. 따라서 오히려 중도 상환시 수수료를 내야함.
돈을 빌려서 잘 사용하고 ↔ 이용료(이자) 잘 낸다면 : 대출을 다루는 것이 나의 투자 실력이다.
집값을 이루는 4가지 요소(194p)
1. 위치 (직주거리, 출퇴근방법, 교통)
2. 편리함 (아파트 여부, 인프라, 상업시설, 학교, 언덕)
3. 관심 (투자 트렌드, 현재는 아파트 또는 관심 지역)
4. 우월감 (지역 네이밍, 브랜드 아파트)
'저평가'된 집은 없지만 (다 현재의 상황, 수요, 이유를 반영하고 있음) 4가지 요소에 변동이 생기면 집값도 달라질 수 있다. 개선의 여지가 있는 요소가 있다면 저평가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음.
참고
- 부동산계산기.com
- DSR 모의 계산
'독서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생 근근이 살아갈 수 밖에 없을까? (자청 역행자를 읽고) (4) | 2023.06.30 |
---|---|
창의적으로 사고하기 (생각정리의 기술을 읽고) (0) | 2023.06.26 |
걱정과 불안을 내려놓고 지혜롭게 일하는 법 (데일카네기 자기관리론 서평-2) (0) | 2023.06.23 |
걱정과 긴장, 불안 극복하기 (데일 카네기 자기관리론 서평-1) (0) | 2023.06.23 |
유튜버 드로우앤드류의 책 "럭키드로우" (0) | 2023.06.19 |